반응형
시가총액 뜻, 시가총액이란 어떤건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 연관검색어는 국내시가총액순위, 코스피시가총액순위, 코스닥시가총액순위 등이 있습니다.
시가총액 뜻
시가총액은 주식을 가격으로 평가한 총액이다. 종목별 당일 종가에 주식 수를 곱하여 산출한다. 시가총액은 주식시장의 규모가 얼마나 되는지 가늠할 수 있는 지표다. 영어로는 'Market Cap'이라고도 부른다.
시가총액 공식은 현재주가 X 발행주식수량이다.
삼성전자를 예로 들어보면,
종가(원) 67,900 X 발행주식수(주) 5,969,782,550 = 시가총액(억원) 4,053,482 이 되는 것이다.
세계 증권거래소 시가총액
독보적 1위 미국, 그 다음 중국 일본순이다. 한국은 2020년 12월 자료기준 13위
유럽까지는 알았는데, 그 아래는 몰랐던 사실이다. 현재는 많이 변했을 것이다.
의문점
중국이 아무리 봐도 시가총액이 중국이 인도보다 클 것 같은데
인도는 왜 54,052이고 중국은 3,000이지?라고 생각할 수도 있다.
나도 예전에 궁금해서 많이 찾아봤는데 국가마다 산출방법이 다르기 때문이다.
전 세계 시가총액 종목 TOP 10
갑자기 세계의 시가총액 TOP 순위도 궁금해서 넣었다.
현재 TOP10개의 기업 중 미국 기업만 8개이다.
순위 | 종목명 | 시가총액 |
1 | 사우디 아람코 | $2.325 T |
2 | 애플 | $2.316 T |
3 | 마이크로소프트 | $1.949 T |
4 | 구글 | $1.467 T |
5 | 아마존 | $1.094 T |
6 | 테슬라 | $699.20 B |
7 | 버크셔해서웨이 | $682.86 B |
8 | 메타(페이스북) | $561.02 B |
9 | TSMC | $474.52 B |
10 | 존슨 앤 존슨 | $472.17 B |
세계의 시가총액 1위는 1933년에 설립된 사우디 '아람코'라는 사우디아라비아의 국영 정유사이다.
한국 코스피 시가총액 TOP 10
한국의 코스피 시가총액도 넣어보았다. 압도적 1위는 삼성전자이다.
순위 | 종목명 | 시가총액 |
1 | 삼성전자 | 396.99조 |
2 | LG에너지솔루션 | 102.84조 |
3 | SK하이닉스 | 79.35조 |
4 | 삼성바이오로직스 | 57.58조 |
5 | 삼성전자우 | 48.96조 |
6 | NAVER | 43.97조 |
7 | 삼성SDI | 40.16조 |
8 | 현대차 | 39.31조 |
9 | LG화학 | 38.40조 |
10 | 카카오 | 36.02조 |
삼성전자, 삼성전자우 두 개의 종목이 나머지 기업들과 시가총액이 비슷하다.
최근 장이 좋지 않은데, 좋은 날이 있길 기대해본다.
반응형